※아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제목에 대한 내용으로 이동합니다. 제목을 클릭해주세요!

-
관상동맥이란?
- 대동맥 시작부위에 위치 대동맥 판막 좌엽 과 우엽 바로 위에서 시작되며 심장을 마치 관 모양으로 둘러싸서 심장의 혈액공급


- 관상동맥이 심근조직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한 결과 조직의 산소여부를 감당하지 못하여 초래


- 죽상경화증 으로 인하여 심하게 좁아진 관상동맥이 혈전의 폐색


심도자술 역사
-
- - 최초 1884년 Claude Berlard에 의해 시행-경정맥 경동맥 통하여 심장 에 도관을 삽입
- - 1929년 Werner Forssmann- 응급상황에서 약물을 심장에 직접주입 기법 왼쪽 상완정맥을 통하여 우심방까지 삽입
- - 1940년대초 Andre Cournand와 Dickinson Richards의 인체의 우측심자의 생리학적 지식체계
- - 1950년대 Zinmerman-척골동맥 노출시키고 6F도관삽입
- - 1953년대 Seldinger-경피적혈관에 삽입하는 기법개발 심도자술 사용
- - 1959년대 Sones-관동맥의 선택적 조영에 성공 오늘날 관동맥중재술의 기초마련 이어서 Abram,amplaza 및 Judkins의 등에 의하여 여러종류의 심도관이 개발되어 안전하고 용이한 관동맥 조영술이 가능
- - 1964년 Dotter와 Judkins에 의하여 Angioplasty최초로 도입
- - 1977년 Andreas Gruentizig최초로 환자에게PTCA시행

- - 불확실한 진단 확정
- - 질환의 중증도 평가
- - 관상동맥성형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술 적용

- - 시술전에 환자교육 - 검사의 종류, 검사의목적, 시술방법, 시술의 필요성, 합병증, 응급수술가능성, 재발율에 대한 충분한 설명, 동의서
- - 시술중 - 불편감, 통증설명 시술자에게 협조
- - 시술전 검사 - 약물요법, 시술시기 결정:환자의 병력 검사 소견

- - 4시간이상 금식
- - 진정제
- - 항응고제의 투여 꼭 필요한 환자는 헤파린 정맥투여 ? 시술4시간 전에 투여 중지
- - 조영제-탈수 ,신부전,조영제 과민반응
- - 좌심실 기능저하- Fluid자주Check, 필요에 따라 이뇨제사용

- - 의사, 간호사, 방사선사로 구성
- - 시설 : 방사선 투시장치
- - 생리적 자료모니터 및 기록기
- - 소독장치
- - 응급기기

- - Catheter
- - Guide wire
- - Sheath(혈관초)

- - Femoral artery와 Radial artery사용
- - Dressing
- - 소독포를 덮는다.
- - 국소마취
- - Seldinger기법 이용


- - Needle안으로 짧은 철선을 삽입
- - Sheath삽입
- - 관상동맥 조영술 시행
- - 관동맥에 따라 미리모양이 만들어진 도관을 이용
- - 종류: Judkins catheter (JL/JR), Amplaza catheter(AL/AR)
- - 관상동맥 혈관부위를 잘 관찰하기위해서 여러가지 View로 촬영
- - 카테타 제거한다
- - Sheath제거
- - 지혈시킨다.





- - Bleeding
- - Infection
- - 가성동맥류
- - 조영제반응 : Anaphylatic Shock, 발진, 두드러기, 오심, 구토 등
- - 부정맥
- - 심낭압전 : 급성 저혈압, 무뇨증
- - 흉통 : 빈맥의 의해서 EKG변화

- - Bed rest
- - Check vital sign (Don ' t check B.P site puncture )
- - Bleeding 유무 관찰
- - Check EKG
- - Chest pain 시 notify
- - Adequate oxygenation
- - Safe environment
- - Education for patient and family

- - 중재 시술전
- - 스텐트 삽입술
- - 스텐트 삽입술



